k패스 신청 및 발급, 혜택 총정리 (다른 교통카드와 차이 비교)

여러분은 대중교통으로 지출되는 금액이 어느정도신가요? 점점 물가는 오르고 살기가 힘든 요즘 대중교통 이용시 소비되는 지출비 또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좋은소식이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할 때마다 일정 비율의 금액을 환급해주는 k패스 제도가 생길 예정입니다.

지금부터 k패스 신청 및 카드발급 그리고 혜택과 관련된 모든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k패스란 무엇인가

k패스 신청과 발급 혜택등 관련 정보를 알아보기전 k패스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는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2024년 5월에 도입하는 제도로,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버스, 지하철등)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까지 일정 비율의 요금을 다음달에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k패스 혜택

k패스 혜택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k패스 카드 환급률

위에서 서술했듯이 k패스 신청 후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시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 (20%~53%)을 다음달에 환급할 수 있습니다.

  • 일반인 20%
  • 청년층 30%
  • 저속득층 53%

예를들어 평균 7만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했다면 일반인은 1만 4천 원, 청년은 2만 천 원, 저소득충은 3만 7천 원을 아낄 수가 있는것이죠.

더 쉽게 말하면 1500원 교통비 기준으로 월 15회를 적용하면

일반인 (6~18세, 40세 이상)

  • 기본 20% : 300원 적립
  • 15회 이용 : 300 * 15 = 4500원 환급
  • 연간 216,000원 환급

청년층 (19~34세)

  • 기본 30% : 450원 적립
  • 15회 이용 : 450 * 15 = 6750원 환급
  • 연간 324,000원 환급

저소득층

  • 기본 53% : 800원 적립
  • 15회 이용 : 800 * 15 = 12000원 환급
  • 연간 576,000 환급

사용횟수가 늘어나면 날수록 최대 60회까지 돈이 환급가능하니 지출비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것이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더하면 절감효과는 훨씬 더 커질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로 일반적인 대중교통외에도 GTX-A와 광역버스등 고비용 지출이 나가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이 가능합니다.

서울 외 거주자분들이 장거리 출퇴근에 따른 교통비 지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이 현재 176개 189개 지자체로 확대될 예정이기 때문에 사실상 전국적인 이용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K패스 참여지역

현재 176개 :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광주, 부산, 대구, 울산과 같은 주요 지자체 모두

그외 추가 13개 :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음성, 진천, 보은, 영동, 증평, 괴산, 단양, 장성

알뜰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k패스 차이

알뜰교통카드는 도보와 자전거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환급하는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k패스는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지출금액 그 자체로 일정 비율을 환급해줍니다.

k패스 신청
k패스 신청
k패스 신청

출처 : 국토교통부 디자인

k패스 신청

알뜰교통카드 알아보기

반대로, k패스는 쓴 금액에 따라 환급되므로 이동거리와 무관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k패스와 다르게 평균 월 6,2000원으로 무제한 대중교통을 이용가능하지만 서울시 및 일부 경기권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k패스, 알뜰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와 같은 서비스중 각자 상황에 맞춰서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정보 알아보기

k패스 신청

k패스 신청은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나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서 이용 가능합니다.

k패스 누리집 바로가기

참고로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은 k패스 신청시 회원전환 절차를 거친다면 별도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전환절차는 알뜰교통카드 어플을 통해 이용약관과 회원전환 동의 절차를 시행하며 오는 2월부터 세부적인 안내를 할 예정입니다.

신규 가입자의 경우 전국형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선불 충전식, 후불형 체크카드, 신용카드 모두 이용이 가능할 예정입니다.

k패스 회원전환하기 (안드로이드)

k패스 회원전환하기 (아이폰)

11개 카드사는 kb 국민, 신한, 하나, 우리, 현대, BC, NH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삼성카드가 해당됩니다.

  • KB 국민카드 바로가기 https://card.kbcard.com/
  • 신한카드 바로가기 https://www.shinhancard.com/
  • 하나카드 바로가기 https://hanacard.co.kr/
  • 우리카드 바로가기 https://www.wooricard.com/
  • 현대카드 바로가기 https://www.hyundaicard.com/
  • bc카드 바로가기 https://bccard.com/
  • NH 농협카드 바로가기 https://card.nonghyup.com/
  • 티머니 바로가기 http://pay.tmoney.co.kr/
  • 이동의즐거움 바로가기 https://www.myezl.com/
  • DGB 유페이 바로가기 https://www.dgbupay.com/
  • 삼성카드 바로가기 https://www.samsungcard.com

마무리

이상 K패스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K패스 제도 서비스를 잘 활용하여 여러분의 교통비 지출에 대한 부담이 조금이나마 줄어들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